미국과 사우디가 멀어지자 중국이 그 사이를 틈타기 시작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상호 우호관계를 토대로 더 나은 미래를 함께 창조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방문 중인 시 주석은 현지 매체인 `알 리야드’ 신문 8일자에 실린 “천년 우정을 진전시키고 함께 더 나은 미래를 창조하자” 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는데요.
시 주석은 기고문에서 “중국인들의 깊은 우정을 안고 사우디 리야드로 돌아왔다”며 양국 관계와 미래에 관한 구상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시 주석은 “중국과 아랍국가간 교류는 2천여 년 전으로 거슬로 올라간다”며 실크 로드를 통한 상호작용을 통해 “동서 포용과 상호학습의 찬란한 장”을 남겼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여기서 걱정되는 부분은 사우디를 중심으로 아랍 국가들이 중국과의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중국과 아랍과의 관계가 걱정되는것은 아무래도 에너지 문제때문이죠. 에너지가 풍부한 아랍국가들이 중국과 가까워진다면 미국과 서방국가들에 자연스럽게 불리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새 시대의 미래를 공유하는 중국-아랍 공동체의 연대와 협력”을 강조하면서, 양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연구 등에서 모범적 연대를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아랍국가들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지지”하며, 중국도 “주권, 독립 및 영토를 보전하려는 아랍국가들을 지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시 주석은 5G 통신, 신에너지, 우주 등 첨단 분야에서 중국과 걸프협력위원회(GCC)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공동 노력과 함께, 양국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진전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또한 시 주석은 이번 방문 기간 아랍국들과의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 국왕과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각각 만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무인기 김포·파주로, 민가 근접 비행 (0) | 2022.12.26 |
---|---|
러시아, 우크라이나 내년에 다시 시작되나 (0) | 2022.12.18 |
트럼프 끝났나..머스크 디샌티스 지지 (0) | 2022.11.28 |
빈살만 일본 방문 취소, 윤대통령에 전보 (0) | 2022.11.19 |
트럼프, 민주당 선전에 혼란스러워해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