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레이션6

세계 5위 경제대국, 영국 IMF 구제 받을 수 있다 IMF가 영국 정부의 경기 정책을 비판했습니다. 현재 영국의 경기 계획을 살펴보자면 재정지출 확대와 대규모 감세를 통해 부양하겠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정책이 어떠한 문제가되기에 IMF까지 나서서 비판하는 것일까요? 평소라면 괜찮겠지만 물가가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이러한 조치는 인플레이션을 악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IMF는 "현재 영국의 인플레이션을 생각할 때 대규모 재정지출은 옳지 않다"며 정책 재고를 권했습니다. 현재 영국 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리게되면 인플레이션이 확대되고, 물가를 잡기 위해서 통화 긴축에 나서는 중앙은행과 충돌한다는 것입니다. 영국 중앙은행은 물가 대응을 위해 두 번 연속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한편 IMF는 국가에 직접적인 비판은.. 2022. 9. 28.
영국 식민지였던 인도, GDP 영국 넘어섰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가 영국을 GDP에서 앞지르고 세계 5위에 올라섰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IMF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한 결과 올해 1분기 영국의 GDP 8160억달러를 인도가 8547달러로 앞질렀다고 전했습니다. 분기 기준이기는 하지만 인도가 영국의 GDP를 앞지른것은 처음입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영국의 경제가 하락한 것을 생각해도 놀라운 결과인데요. 또한 인도는 앞선 2분기에도 13.5% 성장했으며 올해 총 7%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영국의 파운드화 가치는 올해 들어 8% 하락했습니다. 이에 IMF는 인도의 GDP가 미국, 중국, 일본, 독일을 이어 세계 5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영국은 원래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전 세계 4위의 경제 대국이었고 인도는 한국보다도 낮은 .. 2022. 9. 4.
한국은행, 사상 첫 '빅스텝' 할까?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1.75%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미국의 기준금리도 1.75%입니다. 이제 몇일뒤면 한국 기준금리 인상여부가 결정되는데요. 일단 인상은 정해져있고 몇퍼센트를 올릴지가 중요한 상황입니다. 한국도 원래 미국처럼 0.25%를 올려왔는데, 이번에는 0.5% 올릴가능성이 크고 더 많이 올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렇게 각국이 앞다퉈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가파른 물가상승률 때문입니다. 한국도 현재 6월 소비자물가가 상승률이 6%를 기록해 2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은 확실한 상황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현상을 생각하면 당연히 빅스텝 이상의 인상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한국의 현재 문제는 바로 높은 비율의 가계부채입니다. 미국은 자이언트스텝을 시행해도 .. 2022. 7. 11.
2023년 최저임금 시급 9620원 확정 5.0% 올랐다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 시급 9160원보다 460원 오른 시급 96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인상률은 5%로,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 4.7%보다 불과 0.3%포인트 높은 수준인데다 하반기에도 물가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아 노동자들의 내년 실질임금 감소가 우려됩니다. 한편 공익위원안이 제시되자 민주노총 소속 노동자위원 4명이 “물가폭등 시기에 동결도 아닌 실질임금 삭감안”이라 반발하며 퇴장했고, 사용자위원 9명 전원도 “소상공인·자영업자가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표결 선포 뒤 기권 의사를 밝히고 자리를 떠났습니다. 최임위는 재적위원 27명 가운데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되는데, 공익위원 9명, 사용자위원 9명, 한국노총 소속 노동자위원 5명이 표결에 참여한 셈이 됐습니다. 최저임금 결.. 202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