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슬랍스키10 무대동작입문1 #12 시각적 리듬 느끼기 거리에서 길을 건널 때 사람들은 자동차 움직임의 템포-리듬을 파악하고, 자신의 움직임의 템포-리듬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길을 건널지 아니면 자동차를 먼저 보낼지 결정한다. 이것이 바로 시각적 리듬이다. 무대에서 배우가 파트너의 움직임 리듬을 시각적으로 가장 선명하게 인식하는 것은 무대 격투 동작이다. 배우는 파트너의 모든 격투 동작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그와 동일한 템포-리듬으로 동작하려 노력한다. 서로의 호흡과 노력이 맞지 않을 경우 참가자 중 한 사람은 상처를 입는다. 러시아 작가인 오스트롭스키(Ostrovsky)의 연극 중에 이런 장면 이 있다. 젊은 남지는 좋아하는 여자가 자신을 대하는 태도에 상처를 받고 밖으로 나가려고 한다. 쓰고 왔던 모자를 집는 순간 여자는 모자를 잡고.. 2022. 6. 4. 무대동작입문1 #10 사람의 내적인 삶의 리듬은 의식 활동 에너지의 끊임없는 변화다. 이런 변화는 주위 환경에 따른 사람의 심리, 즉 생각과 감정의 관계 적용으로 나타난다. 의식 활동은 최대 한계의 긴장 상태에서부터 최대로 이완하는 상태까지 다양한 강도를 가진다. 이러한 의식 활동은 긴장 수준과 상관없이 겉으로 전혀 표현하지 않고 자기안의 내적 동작으로만 머무를 수도 있고, 언어를 통해 표현할 수도 있으며, 무의식적인 신체 동작으로도 표현된다. 인간의 내적인 리듬에 따라 외적인 동작의 긴장 강도도 달라진다. 연극에서 심리와 신체적 긴장 정도는 템포-리듬으로 말할 수 있는데, 스타니슬랍스키가 바로 무대동작에서의 템포-리듬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는 이 용어를 무엇보다 배우의 내적, 심리적, 감정적인 활동의 에너지를 표현하는 .. 2022. 6. 3. 무대동작입문1 #9 기민성이 있는 사람은 몸이 유연하고 활동적이며 움직임을 조정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반응 속도가 빠르다. 실제 싸움이 아닌 형태만 갖춘 싸움 장면도 눈치가 빠르고 동작이 날쌘 사람만 가능하다. 무대에서 얼마나 부드럽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느냐는 배우의 몸이 얼마나 유연하며 활동적인가로 가늠할 수 있다. 사실 나이가 들수록 유연함과 활동성은 떨어지기 마련인데 그럼에도 경험이 많은 배우는 부족한 점을 숨길 줄 아는 또 다른 기민한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배우라면 보편적으로 필요한 기민함이 또 하나 있다. 바로 무대에서의 이동이다. 기계나 계단 등이 설치되어 있는 무대에서는 항상 독특한 소리가 나는데 관객은 이 소리를 돌계단, 다리, 땅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배우가 이동할 때 나는 쿵쿵 소리는 무대 배경이 만드는 .. 2022. 6. 3. 무대동작입문1 #8 다시 말해, 무대에서 관객이 모두 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동작은 실제 삶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보여야 하므로 작은 동작일수록 더 느리게 연기한다. 손가락 놀림 등 작은 동작들은 관객이 주의를 잘 끌지 못하기 때문에 동작을 빨리 하면 전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현대 연극에서조차 빠른 동작보다 느린 동작을 훨씬 더 많이 볼 수 있는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빠른 행동보다 느린 신체 행동에 훨씬 더 많은 연기 시간이 배당되는데, 연극과 영화에서 배우는 다음과 같은 느린 동작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무대에서 일상행활 동작을 연속적으로 연기하면서 무대 공간을 매우 느리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2. 동작의 속도를 느리게 해서 정지하기, 순간적으로 동.. 2022. 6.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