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영화12 무대동작입문1 #8 다시 말해, 무대에서 관객이 모두 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동작은 실제 삶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이 보여야 하므로 작은 동작일수록 더 느리게 연기한다. 손가락 놀림 등 작은 동작들은 관객이 주의를 잘 끌지 못하기 때문에 동작을 빨리 하면 전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현대 연극에서조차 빠른 동작보다 느린 동작을 훨씬 더 많이 볼 수 있는 것이 그것을 증명한다. 빠른 행동보다 느린 신체 행동에 훨씬 더 많은 연기 시간이 배당되는데, 연극과 영화에서 배우는 다음과 같은 느린 동작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무대에서 일상행활 동작을 연속적으로 연기하면서 무대 공간을 매우 느리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2. 동작의 속도를 느리게 해서 정지하기, 순간적으로 동.. 2022. 6. 3. 무대동작입문1 #7 스타니슬랍스키는 무의식적이며, 자동적이고, 지속적으로 검사가 가능한 주의력을 배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특정 동작을 연습할 때나 연기할 때 자신도 모르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실수를 관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논리적인 평가 과정을 거쳐 틀린 동작을 연기했을 때, 자신의 주의력과 기억력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에게 바로 지적할 줄 알아야 한다. 한 명의 예비 무용수가 탄생하기까지 그는 얼마나 혹독한 반복과 점검, 오랜 탐구 과정을 거쳐 서툴렀던 자신의 동작을 마침내 아름다운 동작으로 승화시키는가? 이런 과정을 오랜 기간 거쳐야만 예비 무용수는 비로소 한 작품의 무대에 설 기회를 얻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배우의 몸은 그저 도구에 그치는 게 아니다. 배우의 몸은 언어와 정서, 사상을 잘 담은 멋진 그.. 2022. 6. 3. 무대동작입문1 #6 작품의 내용과 주요 과제, 대본이 제시하는 상황과 역할 등을 배우가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할 때 신체 행동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가질 수 있다. 완전한 주의가 없이는 완벽한 심리 표현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얼마나 깊고 완벽한 주의력을 가지고 있는가가 배우의 재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된다. 사람은 보통 주어진 순간에 한 대상에게만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하지만 배우라면 주의를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순발력 있게 전환하는 능력을 익혀야 한다. 적절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훈련해 자신이 느끼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러운 습관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이런 능력이 갖춰지면 배우는 다른 주변 대상물을 다스리면서도 무의식적 혹은 의식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대상물에 주의를 집중할 수.. 2022. 6. 3. 무대동작입문1 #5 이 경우에는 다시 의지의 도움을 받는다. 재설정한 의지를 통해 배우는 다음 작업에서 결정을 실현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모든 창조 과정에서 적극성은 중요한 자질이며, 배우의 재능을 특징 짓는다. 강한 의지가 있다는 것은 과감성과 적극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자신이 채택한 방법이 옳다는 확신과 이 방법을 이행하려는 끈질긴 의지는 이 두 가지에 달려있다. 배우가 내적으로 체험했던 감정을 연기할 수 있는 작품에 참여 할 때에도 의지가 갖는 의미는 크다. 스타니슬랍스키가 말한 것처럼 배우의 의지를 특정 동작으로 표출하려면 자신의 동작, 의지, 감정, 생각을 이해해야 하고 외적인 동작(몸의 움직임)도 감정의 내적 동작과 연관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자신이 기존에 느꼈던 감정을 체계적으.. 2022. 6.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