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이 모든 휴대전화와 태블릿, 카메라 등 휴대기기의 충전단자를 2024년 가을까지 ‘USB-C 타입’으로 통일하는 방안에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 아이폰에 자체 개발한 ‘라이트닝 충전단자’를 사용하는 애플도 USB-C 타입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포함한 소형 전자기기 대부분이 USB-C 타입을 적용해 사실상 세계 표준으로 쓰이고 있지만 애플은 라이트닝을 고수해왔는데요. 유럽의회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7일(현지시간) 휴대기기의 충전 단자를 통일하는 내용의 ‘무선 기기 지침’에 대한 임시 합의를 이뤘다고 발표했습니다. 새 규정에 따르면, 제조사들은 2024년 가을까지 휴대전화, 태블릿, 전자책 리더기, 이어폰, 디지털 카메라, 헤드폰 및 헤드셋, 휴대용 비디오 게임기, 휴대용 스피커 제품 등의 휴대 기기에 USB-C 타입의 충전 단자를 갖춰야 합니다. 다만 노트북은 2026년까지로 기간을 늦췄습니다.

유럽의회는 이번 합의에 대해 EU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더 지속가능하게 만들고, 전자 폐기물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생활을 더욱 쉽게 만들려는 EU의 노력 가운데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도 “편의성을 높이고 낭비를 줄이는 중요한 단계”라며 “유럽의 소비자들이 연간 약 2억5000만 유로(약 3356억 원)를 절약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합의는 유럽의회와 EU 회원국의 공식 승인을 거친 뒤 발효된다. 또 새 규정이 시행되기 전에 출시된 제품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새 규정이 시행되면 제조사들은 유럽연합에서 USB-B 타입이나, 라이트닝 충전단자를 사용하는 휴대기기들을 판매할 수 없게 됩니다. 애플은 맥북에어 등 일부 제품에는 USB-C 타입의 충전 단자를 채택했지만, 아이폰에는 여전히 라이트닝 충전단자를 유지하고 있죠. 애플은 지난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휴대기기 충전단자를 통일하는 내용의 규정을 제안하자 “혁신을 방해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일부 언론에서 애플이 USB-C 타입 아이폰 모델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지만 공식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습니다. 애플의 지난해 매출에서 유럽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24%에 이르는 만큼, 유럽연합에서 새 규정이 시행되면 애플 역시 USB-C 충전단자로의 전환을 서두를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사태가 일상을 위협한다 (0) | 2022.06.11 |
---|---|
바이든의 중남미 지키기 (feat. 미중갈등) (1) | 2022.06.09 |
서울 인구가 줄어들면 서울 집값이 하락할까? (0) | 2022.06.07 |
바이든 사우디 방문하면 물가 잡힐까? (0) | 2022.06.06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시행 (0) | 2022.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