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유럽연합 회원국의 에너지 부문 장관들은 체코 프라하에서 비공식 회의를 열고 가스 공동구매에 합의했습니다. 유럽연합 의장국인 체코의 요세프 시켈라 산업통상부 장관은 “EU 회원국들은 내년 여름 이전부터 가스를 공동구매할 예정”이라며 “올해보다 더 상황이 어려울 전망인 내년 겨울에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유럽연합은 이번 회의 결과를 반영해 오는 18일 에너지 위기 대응책을 발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가스 가격상한제를 도입할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지 못했습니다.
카드리 심슨 EU 에너지정책 담당 집행위원은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가스 가격상한제를 충분히 지지하고 있는지 불분명하다”며 “이번 주말 가격상한제에 대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왜 가스 가격상한제 문제에서는 이견을 보이는 것일까요?
현재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가스 가격상한제 도입엔 대체로 찬성하지만, 세부 내용을 두고 의견이 갈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유럽연합 미가입국이지만 유럽연합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노르웨이가 가격상한제 도입에 반대하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만한 상황입니다. 한편 러시아는 현재 무슨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요?
러시아에서는 에너지를 무기 삼아 유럽을 압박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졌습니다. 러시아 에너지기업 가스프롬의 알렉세이 밀러 최고경영자는 이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 에너지위크 행사에서 “이번 겨울이야 따뜻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5~7일간은 비정상적으로 추울 것”이라며 “에너지 수요가 가장 많은 날엔 유럽에서 하루 약 8억㎥의 천연가스가 부족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진핑 종신집권 가능할까? (0) | 2022.10.23 |
---|---|
북한, 동·서해상 400발 포병사격.. (1) | 2022.10.14 |
삼성·SK, 미국 반도체 수출 통제 1년 남았다 (0) | 2022.10.12 |
'러시아 대탈출' 요트 타고 한국왔다 (0) | 2022.10.11 |
키이우 삼성전자 건물 피해.. 러시아 인정 (0) | 2022.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