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100만명 심리상담·청년 2년마다 검진

by 하린세상 2023. 12. 5.
반응형

정부가 심리적 어려움이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상적 마음 돌봄 체계를 구축합니다. 내년 정신건강 중·고위험군 8만명을 시작으로 윤 대통령 임기 내 100만명에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게 목표입니다.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거나 가족의 자살을 경험한 유가족, 의료기관이나 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에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이들부터 제공되는데요.

 



이를 통해 2021년 기준 12.1%에 불과한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을 2030년에 24%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정신건강 위험 신호를 조기에 알아챌 수 있도록 20∼34세 청년층의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우울증뿐 아니라 조현병·조울증도 검사하기로 했습니다. 대상자는 약 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습니다.

정신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고위험군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사후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조울증·조현병 등의 발병 시기가 20∼30대이고, 조기 발견 시 적절한 치료를 거쳐 회복할 수 있다고 알려진 데 따라 청년에 대해 우선적으로 정신건강검진을 확대하게 됐다"며 "청년층에 먼저 도입한 후 단계별로 확대 시행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내년 7월부터 자살 예방 교육을 의무화해 일반 국민에게는 자살 예방인식개선 교육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는 생명지킴이 교육을 각각 실시합니다. 자살 예방을 위한 신고·상담을 위한 전화번호는 내년부터 '109'로 통합·운영하는데요.

상담원도 현재 80명에서 내년 100명으로 늘리고, 통화보다 메시지를 선호하는 청소년과 청년을 위한 SNS 상담도 도입합니다. 직장 내 정신건강 지원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중대산업재해 경험자·감정 노동자를 위한 직업 트라우마센터도 올해 14곳에서 내년 23곳으로 확대하기로 했으며 고용센터에선 실직자·구직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극복 심리상담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예방에서 회복에 이르기까지 전단계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정신건강정책을 전환하겠다고 비전을 밝혔습니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국민 100만명에 심리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고, 청년층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기존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해 조기에 개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 방침입니다.

 



신속하고 지속적인 치료를 위한 대응체계를 재정비하는 한편 정신질환자의 일상 회복을 돕는 복지서비스 강화와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에도 힘씁니다. 정부는 5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 영빈관에서 '정신건강정책 비전 선포대회'를 열고 '예방부터 회복까지'를 새로운 비전으로 선포한 뒤 이러한 내용의 혁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혁신방안을 통해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명당 25.2명인 국내 자살률을 10년 안에 5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