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자일기/타입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 함수에 타입 지정하는 방법

by 하린세상 2023. 4. 2.
반응형

 

함수에 타입지정을 할 수 있는 곳은

1. 함수로 들어오는 자료 (파라미터)

2. 함수에서 나가는 자료 (return)

특히, 파라미터에 타입을 지정해주면 이제 파라미터는 필수 파라미터가 됩니다.

 

void타입 함수

타입스크립트에서의 함수는 특이하게 'void'라는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return시킬 자료가 없는 함수의 타입으로 사용하곤 합니다.

이처럼 return을 시켰는데 'void'함수를 썼으면 return에서 에러가 납니다.

 

파라미터 값을 옵션값으로 주고싶을 때

함수에 파라미터값을 만들었지만 가끔 파라미터 값을 선택적으로 주고 싶을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파라미터값에 옵션이라는 말을 해줘야 에러가 나지 않습니다.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파라미터 변수 오른쪽에 물음표만 붙이면 끝입니다.

이렇게 물음표만 붙이면 앞으로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꼭 알아야할 사실이 있습니다.!!

이 두 줄이 같은 의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