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관적으로 보면 변수명 : 타입명이다. 여기서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string, number, boolean, bigint, null, undefined,[], {} 등이있다.
array와 object 자료는 이렇게 지정해준다.
이렇게 여러가지 타입을 지정해줄 수도있다. type 방법을 사용해 타입을 변수처럼 담아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황을 보면 x는 number 아니면 string인데 왜 오류가 나나 의문이 든다.
타입스크립트는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엄격한 아이다. 그래서 타입이 둘중에 하나가 아니라 꼭 하나여야한다.
여기서 type에 담는거 대신에 interface 키워드를 사용해도 된다고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특정 속성이 선택사항이면 물음표를 기입해 해결해줄 수 있다.
이렇게 object안에 어떤 속성이 들어갈지 못정했다면 [key :string] 처럼 지정해줄 수 있다.
반응형
'개발자일기 > 타입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입스크립트 - 타입이 길어진다면 readonly를 쓰세요 (0) | 2023.04.04 |
---|---|
타입스크립트 - Narrowing & Assertion (0) | 2023.04.03 |
타입스크립트 - 함수에 타입 지정하는 방법 (0) | 2023.04.02 |
타입스크립트를 쓰는데 타입을 해제할 수 있다? (0) | 2023.04.02 |
자바스크립트 쓰면 되지 왜 타입스크립트가 뜨는 걸까?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