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ml파일에 입력한 내용을 mongodb를 연결해 db에 저장시키고 싶었다.
그런데 간단할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여러 오류들이 나타나 해결하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이 코드만큼은 꼭 저장하고 필요할때마다 보고싶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 html 파일 코드
<form action="/add" method="POST"> <div class="form-group">
<label>오늘의 할일</label>
<input type="text" class="form-control" name="title">
</div>
<div class="form-group">
<label>날짜</label>
<input type="text" class="form-control" name="date">
</div>
<button type="submit" class="btn btn-danger">Submit</button>
</form>
|
cs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 server.js 파일 코드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bodyParser = require('body-parser');
app.use(bodyParser.urlencoded({extended : true}));
const { MongoClient } = require('mongodb');
const uri = "mongodb+srv://harinworld95:<password>@cluster0.yl5buva.mongodb.net/?retryWrites=true&w=majority";
const client = new MongoClient(uri, {
useNewUrlParser: true,
useUnifiedTopology: true
});
async function run() {
try {
await client.connect();
await client.db("node-todoapp").collection("post");
console.log('저장완료');
} finally {
}
}
run().catch(console.dir);
app.get('/pet', (요청, 응답)=>{
응답.send('펫용품 페이지입니다.');
})
app.get('/', (요청, 응답)=>{
응답.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app.get('/write', (요청, 응답)=>{
응답.sendFile(__dirname + '/write.html');
})
app.post('/add', async (요청, 응답)=>{
응답.send('전송완료');
console.log(요청.body.title);
try {
await client.db("node-todoapp").collection("post").insertOne({ 제목 : 요청.body.title, 날짜 : 요청.body.date});
console.log('저장완료');
} catch (err) {
console.log(err);
}
})
app.listen(8080, ()=>{
console.log('listening on 8080');
});
|
cs |
app.post 부분이 mongodb에 데이터를 저장시켜주는 코드이다.
항상 그렇듯 에러들을 해결하고 문제를 해결하면 정말 날아갈거 같은 기분이다. 몇분 후 또 다른 오류를 마주하게 되지만,,
반응형
'개발자일기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js 파일 사용해보기 / DB데이터 html로 출력하기 (0) | 2023.05.04 |
---|---|
서버 / Node.js란 무엇인가?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