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서버란
요청을 받으면 요청한 내용을 보내주는 프로그램
💻 요청의 종류
1. 읽기 (GET)
2. 쓰기 (POST)
3. 수정 (PUT)
4. 삭제 (DELETE)
💻 Node.js로 서버 만드는 이유
Non - blocking I/O
: 데이터 요청 처리 도중 많은 양의 요청을 만나면 빨리 처리할 수 있는 것부터 처리하고 나중에 대용량 요청을 처리한다.
(강점) SNS, 채팅서비스, 코드가 짧아서 빠른 개발가능
💻 개발환경
node.js 설치하기 -> vscode 설치하기 -> express 라이브러리 (npm install express)
<< 서버를 띄우기 위한 기본 셋팅 코드 >>
1
2
3
4
|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listen();
|
cs |
<< local에 화면 띄우기 >>
1
2
3
|
app.listen(8080, function(){
console.log('listening on 8080');
});
|
cs |
<< get 요청 하는법 >>
1
2
3
|
app.get('/pet', function(요청, 응답){
응답.send('펫용품에 해당하는 페이지입니다');
})
|
cs |
<< html파일등 보내는법 >>
1
2
3
|
app.get('/', function(요청, 응답){
응답.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
cs |
<< post 요청 하는법 >>
1
2
3
4
5
6
7
|
//html파일
<form action="/add" method="POST">
//server.js
app.post('/add', (요청, 응답)=>{
응답.send('전송완료')
})
|
cs |
반응형
'개발자일기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js 파일 사용해보기 / DB데이터 html로 출력하기 (0) | 2023.05.04 |
---|---|
mongoDB 사용하기 (0) | 2023.05.03 |
댓글